방금 옛날이 된
강동아트센터 아트갤러리 그림 2021년 12월 16일-12월 29일
그럼에도 우리는, 작가의 일을 해냅니다
서울일삼(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379-3) 2021년 1월16 -17일 12-18시
길 위에서 Above the Road
서울일삼(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379-3) 2020년 11월11일-30일
서울일삼(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379-3) 2020년 11월11일-30일
판화, 판화, 판화
Prints, Printmaking, Graphic Ar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20년 5월14일-8월16일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Prints, Printmaking, Graphic Ar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20년 5월14일-8월16일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서울, 우리들의 거리는
SeMA창고 (서울 은평구 통일로 684) 2019년 9월10일-22일
SeMA창고 (서울 은평구 통일로 684) 2019년 9월10일-22일
담의 시간들
서울시 공공미술프로젝트 「서울은 미술관」
녹사평역 개찰구
서울시 공공미술프로젝트 「서울은 미술관」
녹사평역 개찰구
공동의 기억: 새석관시장
2018년 10월 19일 - 11월 25일
성북예술창작터(서울 성북구 성북로23)
2018년 10월 19일 - 11월 25일
성북예술창작터(서울 성북구 성북로23)
성수동 일요일
2018년 7월 5일 - 8월 31일
레이블갤러리(서울 성동구 성수이로26길 31)
Sunday in Seongsu-dong
July 5 - August 31, 2018(closed on Sundays, August 2-5) 10am to 6:30pm
Label Gallery(Seoul, Seongdong-gu, Seongsui-ro 26-gil, 31)
2018년 7월 5일 - 8월 31일
레이블갤러리(서울 성동구 성수이로26길 31)
Sunday in Seongsu-dong
July 5 - August 31, 2018(closed on Sundays, August 2-5) 10am to 6:30pm
Label Gallery(Seoul, Seongdong-gu, Seongsui-ro 26-gil, 31)
어느 산책자의 기록 Flâneur
2017년 8월 17일 - 9월29일 한원미술관
2017년 8월 17일 - 9월29일 한원미술관
올수리 1.5룸
2017년 6월 12일 - 6월 25일 구로구 우마길 24-3 벌집 앵커시설
INTERMISSION
2017년 6월 12일 - 6월 25일 설치극장 정미소
2017년 6월 12일 - 6월 25일 설치극장 정미소
낮고 높고 좁은 방
2017년 4월7일 - 4월28일 갤러리 구루지
2017년 4월7일 - 4월28일 갤러리 구루지
광화문 앞 평양
단한곳 단한점 지명공모
단한곳 단한점 지명공모
안감내한옥이야기
2016년 10월7일 - 11월6일 성북예술창작터
2016년 10월7일 - 11월6일 성북예술창작터
경 境
2016년 8월 10일-8월 31일 스페이스홍지
2016년 8월 10일-8월 31일 스페이스홍지
2013년 4월, 개성공단 폐쇄에 관한 뉴스를 보았다. TV에서는 개성에서 짐을 가득 싣고 출입사무소를 빠져나오는 차의 행렬을 보여주었다. 차가 지나는 도로바닥에는 '개성'이라고 쓰여 있었다. '서울', '광화문'처럼 갈 수 있는 곳을 표시하는 글씨체와 규격으로 북한의 지명이 쓰여있으니 낯설게 느껴졌다. 도로에 '목성', '금성'이 써 있는 것 만큼이나 이상하게 보였다. 더 이상 갈 수 없는 곳으로 안내하는 도로표시가 거기 남아있는 것이다. 길을 안내하는 기능을 잃어버린 그 '개성'이라는 도로표시를 탁본으로 남기고 싶었다.
종로와 강남대로
2016년 5월 14일 - 7월 3일 서울시청하늘광장갤러리
2016년 5월 14일 - 7월 3일 서울시청하늘광장갤러리
빌린가게
2015년 12월 26일 - 12월 31일 Standard Supply
2015년 12월 26일 - 12월 31일 Standard Supply
이층벽돌집
2015년 11월 28일 - 12월 26일 The 3rd Place
2015년 11월 28일 - 12월 26일 The 3rd Place
무현금
Muhyungeum 2015
2015년 10월 17일 - 12월 31일 진천 종박물관
도시수집가 스페이스K 대구
Urban Gatherers 2015
2015년 8월 13일 - 9월 30일
종로의 나무간판 갤러리 그리다
WOODEN SIGNS ON JONGRO
2014년 11월 26일 - 12월 7일
etters ith o aces 세계문자심포지아 2014
아래아한글로 문서작업을 하다가 오타를 친 것을 계기로 하게 된 작업이다. 아래아한글은 존재하는 글자는 만들어주지만 존재하지 않는 글자는 만들어주지 않는다. 예를 들면 ‘ㄹㄱ’, ‘ㅂㅅ’ 같은 받침은 써주지만 ‘ㄱㅎ’, ‘ㄷㅅ’ 같은 것을 받침으로 한 글자를 쓰려고 하면 써주지 않는다. 그러나 의외로 초성이 빠진 ‘ᅟᅥᆯ’ 같은 글씨는 완성해준다는 것을 오타로 인해 알게 되었다. 초성이 없는 글자가 얼굴 없는 글씨처럼 느껴져서 만든 문구이다.
많은 일을 컴퓨터로 처리하는 오늘날의 환경에서 우리는 어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려면 그 소프트웨어가 정해놓은 규칙을 따를 수밖에 없다. 그 규칙이 흘려 놓은 빈틈을 주워 작업했다.
많은 일을 컴퓨터로 처리하는 오늘날의 환경에서 우리는 어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려면 그 소프트웨어가 정해놓은 규칙을 따를 수밖에 없다. 그 규칙이 흘려 놓은 빈틈을 주워 작업했다.
강북의 달 2014 서울시립미술관 북서울관
RELICS OF OLD SEOUL 2014
TICKET TO SEOUL 2014 K11, Shanghai
담지도 2013 가회동60
DAMJIDO 2013. 11. 15 - 11. 30
도시를 기억하는 방법 2013 아트스페이스53
WAYS OF REMEMBERING THE CITY 2013. 6. 26 - 7. 28
일시적 점거자 2013 도하프로젝트
I WAS THERE 2013
PEELING THE CITY 2012 부띠크모나코미술관
2012.11.21-12.6
도시의 바닥은 온통 기호로 이루어져있다. 차를 위한 것이든 보행자를 위한 것이든 전기수리공을 위한 것이든 어느 하나 기호가 아닌 부분이 없다. 아스팔트는 차가 다니는 길이라는 기호이고, 그 위에 그어진 줄들은 넘지 말라는 것이고 화살표는 이리로 가라는 표시이다. 아스팔트보다 약간 높게 들어놓은 길은 사람이 걸어다니라는 의미이다. 아스팔트가 아닌 블록으로 되어있는 것 또한 보도라는 뜻이다. 군데군데 있는 맨홀뚜껑은 이것을 열면 통신설비가 들어있거나 하수배관이 있다는 것 등을 나타낸다. 보도블록 중에서 반복적으로 볼록한 양각이 들어가 있는 것은 시각장애인을 안내하기 위한 촉각적인 기호이다.
도시는 사람들이 모여, 사람들이 만들고, 사람들끼리 약속을 하고 살아가는 곳이다. 그리고 그 약속들은 도시의 바닥에서 조용히 도시의 흐름을 만들고 있다.
도시는 사람들이 모여, 사람들이 만들고, 사람들끼리 약속을 하고 살아가는 곳이다. 그리고 그 약속들은 도시의 바닥에서 조용히 도시의 흐름을 만들고 있다.